반응형

(생필) 인터넷 이야기 32

집 안 "통신 케이블" 연결 이해하기

많은 분들이 집 안에서 케이블을 어떻게 연결해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을지 궁금해 하셔서 오늘은 집안 통신 케이블 연결구조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아파트나 신축 빌라의 경우에도 대부분 이렇게 연결되어 있으니 비용들여서 기사님 부르시지 말고 직접 한번 해봐요 ^^ #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 연결 아파트 홈 네트워크의 일반적인 연결은 아래와 같습니다. 보통 집 안에 "신발장"이나 "세탁실 벽면"에 보시면 통신단자함이 있는데요. 열어보시면 위 그림과 같이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실제 환경은 더 많이 복잡하겠죠?) 건물이 오래 되었다면 아래 사진처럼 생긴 것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사실 비전문가는 작업이 어려워요. ㅠㅠ 참고로, 이것은 110block (원텐블락)이라고 합니다. 작업을 원하시면 기사..

와이파이 설치, 와이파이 공유기 셋팅하기 (기초편)

사실 와이파이 공유기를 설정해보신 경험이 많으시다면 이러한 주제는 약간은 유치? 할 수도 있을텐데요. 하지만, 아직까지도 많은 분들이 공유기는 어떻게 접속해야 하는지, 내 와이파이 이름은 어떻게 바꾸는지, 보안 key는 어떻게 설정해야 되는지 이러한 것들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이 계셔서 이렇게 와이파이 공유기 "기초편"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자, 그럼 시작해볼께요~ 한번 읽어보시고 따라해보시면 전혀 어렵지 않으니 다 읽고 나시면, 이제 자유롭게 설정을 바꾸실 수 있게 되실거에요. # 공유기 종류 구분 가장 먼저 공유기의 "모양"을 먼저 봐주세요. 안테나가 없이 이렇게 생겼다면 그건 "유선 공유기" 입니다. 와이파이가 되지 않고, 랜 케이블로 컴퓨터와 유선으로 연결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안테나가..

내 인터넷 사용 기록이 감시되고 있다? (학교, 회사)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서 명확히 정리해드리고자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과연 회사나 학교에서 내가 어디에 접속했는지 그 기록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까? “ 답변은 YES 입니다. ” # 기업의 무선네트워크 구성 학교나 회사(규모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에서는 와이파이를 제공하기 위해 집에서 사용하는 "와이파이 공유기"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와이파이를 통제할 수 있는 "무선랜 컨트롤러"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이 무선랜 컨트롤러에서 어떤 단말이 연결되어 있고, 얼마만큼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지 다 확인할 수 있답니다. 따라서, 와이파이에 연결하셔서 대용량 다운로드를 받는다거나 트래픽이 남들보다 특히 많은 경우 바로 눈에 띄게 되겠죠? ^^ 하지만, 이 시스템만으..

공인IP, 사설IP, NAT, DHCP 이게 다 뭐야? (그림으로 쉽게 ^^)

제목에 쓴 용어들은 사실 IT 전공자가 아니시라면 정확한 이해가 없으셔도 크게 살아가시는데 불편함은 없으실텐데요.; BUT, 알고 계시다면 인터넷의 동작원리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하시게 되고, 문제를 더 정확히 짚어내실 수 있을거에요. 그러한 이유로 이런 재미없는 주제를 가지고,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기 위한 글을 써보려 합니다. 그림으로 쉽게 설명하여 기억에 오래 남도록 최선을 다해볼께요~ ^^ 1. 공인 IP 주소 : 보통 IP 주소를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 "집 주소" 입니다. 우편을 보낼 때도, 다시 회신을 받을 때도 주소가 없다면 우체부 아저씨께서 어디로 보내야 할지 알 수가 없겠죠? 이와 같이 내 컴퓨터도 DAUM.NET을 찾아가려면 DAUM.NET의 IP 주소를 알아야 하고, DA..

가상화의 이해 및 활용(VMware workstation), 어렵지 않아요~

혹시 "가상화" 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아니면 "클라우드"는 어떤가요? 둘의 동작 개념은 비슷한대요. 이 글을 모두 이해하신다면 개념은 확실히 잡히시리라 믿습니다. ^^ "가상화"란 1대의 물리 서버에 하나의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1대의 물리서버에 하나 이상의 운영체제를 설치해서 운영할 수 있는 개념이라고 간단히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그림으로 간략히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서버에 가상화 OS를 설치하고, 이 가상화 OS 위에 각각의 Windows와 Linux OS 등 다양한 형태의 OS를 설치해서 동시에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에서 가상화 OS를 "호스트 OS"라고 표현하고, 이 가상화 OS가 관리하는 각각의 OS들을 "게스트 OS"라고 표현합니다. 이러한 가상화 OS..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인증서 경고창")

이번에는 웹 사이트 접속시 가끔 경험하실 수 있는 "인증서 경고"에 대해 간단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정확한 메러 메세지는 "연결이 비공개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며, " NET::ERR_CERT_COMMON_NAME_INVALID"라는 메세지가 함께 표시가 되는데요. 이러한 오류가 왜 발생하며,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 # 오류의 원인 대부분의 웹 서버들은 HTTPS를 지원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와 암호화 된 통신을 하게 되는데요. 암호화 된 채널 생성을 위해 웹 서버는 자신의 "인증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사용자 브라우저는 웹 서버가 보낸 "인증서"를 검토하고, 이 인증서를 발행한 기관(Root CA)이 "신뢰할 수 있는 기관" 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d..

IP 주소를 이해하면 문제가 보인다

네이버 지식인에 답변을 하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IP 주소에 대해서만 정확히 이해하셔도 많은 궁금증이 풀릴텐데... 이러한 이유로 오늘은 "IP 주소"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 합니다. 천천히 끝까지 읽어 보시면 IP 주소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으실거에요 ^^ IP 주소의 정의, 예를들어, 내 집주소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필요한 유일한 나의 주소이다.. 뭐 이런 용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께요~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 키 + R 버튼"을 누르시면, 실행창이 나타나는 데요. cmd 라고 입력하신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림 아래와 같이 창이 뜰텐데요. 보통은 검은색이지만 참고로 저는 흰색으로 바꿨습니다. ^^ 여기서 ip..

아이들의 유튜브 시청 때문에 스트레스 받으시죠? (Youtube 차단)

저도 두 사내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상황에서 "유튜브"는 정말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습니다. 숙제한다고 해놓고선 몰래 유튜브를 보기도 하고, 두뇌에 치명적이라는 "숏폼"을 얼마나 많이 보는지... 계속 감시할 수도 없고 여간 속상한 일이 아닌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브라우저에서 아예 유튜브를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드리려고 합니다. 처음에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막상 해보시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차근차근 따라와주세요~ (Chrome 브라우저를 활용하겠습니다.) Step1. "Chrome 웹 스토어 방문하기"로 들어가주세요. 우측 위 점3개 매뉴를 클릭하시면 매뉴가 나타납니다. Step2. 돋보기 창에 "block site"라고 치시고, "Block Site;Site Blocker..

마우스 포인터 꾸미기 (마우스 커서 변경)

이번에는 마우스 포인터(커서)를 예쁘게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마우스 설정에 들어가시면 색상 정도만 간단히 변경할 수 있지만, 인터넷 브라우저에서는 더 "예쁘게" 꾸밀 수 있답니다. ^^ 어렵지 않으니 한번 천천히 따라와 보세요~ 렛츠고! Chrome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점 3개 있는 버튼을 눌러서 "설정"으로 이동해 주세요. 매뉴 중간 쯤 보시면 "확장 프로그램" 매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확장 프로그램 관리"로 들어가주세요. 그럼 브라우저에 설치되어 있는 기본 확장프로그램이 나올 거에요. 저는 아래와 같이 확장프로그램이 있지만, 만약에 없으신 경우에는 왼쪽 상단의 " Chrome 웹 스토어 에서 "더 많은 확장 프로그램 및 테마를 찾아보세요."를 클릭하셔서 확장프로..

인터넷 접속 기록 확인하기 (장기 보관)

안녕하세요~ 따뜻한 봄 기운이 너무 좋은 요즘이네요 ^^이 좋은 계절을 마음껏 즐기시길 바래요~ 이번에는 "인터넷 접속 기록"을 확인하는 방법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내가 접속했었지만 기억이 잘 안난다거나, 혹시 아이들이 몰래 어디에 접속한 곳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종종 접속 기록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실텐데요 ^^;몇 일전부터 몇 달까지 검색해볼 수가 있습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한대요~ Step 1. 브라우저 우측 상단에 "점 3개 버튼"을 눌러주세요Step 2. "방문 기록" > "방문 기록"을 눌러주세요. 날짜와 방문 기록이 쭉 나올텐데요~ 스크롤 다운해서 몇 달전까지 거슬러 올라가기는 너무 힘들겠죠. Step 3. "기록 검색"에 날짜를 입력해주세요.사이트 명으로 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