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 인터넷 이야기

공인IP, 사설IP, NAT, DHCP 이게 다 뭐야? (그림으로 쉽게 ^^)

생활IT 2024. 4. 5. 14:56
반응형

 

제목에 쓴 용어들은 사실 IT 전공자가 아니시라면 정확한 이해가 없으셔도 크게 살아가시는데 불편함은 없으실텐데요.;

 

BUT, 알고 계시다면 인터넷의 동작원리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하시게 되고, 문제를 더 정확히 짚어내실 수 있을거에요. 

 

그러한 이유로 이런 재미없는 주제를 가지고,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기 위한 글을 써보려 합니다. 

 

그림으로 쉽게 설명하여 기억에 오래 남도록 최선을 다해볼께요~ ^^

1. 공인 IP 주소

 : 보통 IP 주소를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 "집 주소" 입니다. 우편을 보낼 때도, 다시 회신을 받을 때도 주소가 없다면 우체부 아저씨께서 어디로 보내야 할지 알 수가 없겠죠? 

 

이와 같이 내 컴퓨터도 DAUM.NET을 찾아가려면 DAUM.NET의 IP 주소를 알아야 하고, DAUM.NET 서버가 내가 요청한 페이지를 보내주려면 나의 IP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처럼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라고 얘기합니다. 

2. 사설 IP 주소

 : 공인 IP 주소 외에 "사설 IP 주소"란 놈이 있는데요. 이 것을 사용하는 주 목적은 공인 IP 주소의 갯수가 부족해서 입니다. 

약 6억개 이상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미 포화 상태라 더 이상 할당할 수 있는 IP가 없어졌어요. (대안으로 IPv6가 있긴 하지만, 이건 그냥 넘어갈께요. 중요치 않습니다. ^^) 

아래 그림을 보시면 좀 더 이해하기 편하실거에요.

공인 IP 주소는 다들 너무나 잘 알고 계시는 "공유기"가 가지게 되고, 이 공유기에 연결되는 단말들에게는 "사설 IP 주소"를 할당해주게 됩니다. 

 

여기서, 공유기가 하는 중요한 역할이 있는데요. 바로 이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NAT) 시켜 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공유기 아래에 연결된 많은 단말들이 1개이 공인 IP 만으로 모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거든요 ^^

 

여기서 또 중요한 한가지, 그럼 DAUM.NET 서버 입장에서는 어떨까요? 공유기 뒤에 있는 단말의 사설 IP 주소는 볼 수가 없고, 공유기의 공인 IP 주소만을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

 

3. NAT

 : NAT는 사설 IP 주소를 설명할 때 함께 설명한 것 같네요 ^^ 이처럼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이 바로 NAT 입니다. 

그냥 이렇게만 설명하고 넘어가기엔 좀 서운해서 NAT의 기능 중에 하나인 "포트포워딩"을 설명드릴께요.

내가 외부에 있을 때, 내부에 있는 단말(예,CCTV)에 연결하고 싶은 경우가 있으실텐데요. 

이 경우, 사설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CCTV를 외부에서 연결할 수가 없겠죠? 이따 필요한 것이 바로 "포트포워딩" 입니다.

위 그림에서와 같이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의 특정 포트 (통신 소켓, TCP 또는 UDP)를 매핑 시켜준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그럼 나는 집안의 CCTV에 연결하기 위해 외부에서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http://1.1.1.2:8080"을 입력하게 되면 내부에 있는 CCTV로 연결이 되게 되는데요. 이 기능을 이해하고 계시면 가끔은 유용하게 쓰일 데가 있겠죠 ^^

포트포워드 설정의 예

 

4. DHCP

 : 위에서 공유기가 단말기 들에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해준다고 설명드렸는데요. 이처럼 단말이 공유기에 연결되었을 때,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DHCP 서버" 기능입니다. 

반대로 단말들은 "DHCP 클라이언트" 기능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단말이 서버에게 IP 주소를 요청하고, 서버는 단말에게 IP 주소를 할당해주게 됩니다. 

여기서 또 중요한 부분이 바로 "DHCP 임대기간" 인대요. IP 주소를 할당해주면서 언제까지 이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지 기간을 정해주게 됩니다.

이 시간은 cmd 창에서 ipconfig /all을 실행해보시면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시간이 만료되면 인터넷이 잠깐 끊어질 수 있으니 공유기에서 이 시간을 넉넉~하게 설정해두시기를 권해드려요.

 

여기까지 인터넷을 사용하시게 되면 많이 쓰이게 되는 용어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어렵지 않게 잘 이해되셨길 바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