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 인터넷 이야기

인터넷이 안되요.. 무엇을 해야 하나요? (인터넷 안될 때 왕초보 가이드)

생활IT 2024. 4. 20. 09:42
반응형

 

인터넷이 안될 때, "고수" 분들이라면 이 상황에서 무엇을 먼저 확인해야 할지 판단하시고, 그 것을 스스로 확인해 보실텐데요.

 

하지만,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무엇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확인하셔야 되는지 난감해 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분들은 위한 글이니 나는 "컴알못"은 아니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뒤로 가기"를 눌러주세요 ^^

 

오늘은 "유선 인터넷"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아직까지 글을 읽고 계시는 왕초보 분들을 위한 이제 가이드를 시작하겠습니다!! 

# 내 컴퓨터 먼저 확인하기

가장 먼저 확인하셔야 되는 것은 바로 "어댑터 드라이버" 설치의 유무 입니다.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어댑터"가 필요하고, 이 것은 모든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이더넷 어댑터 (랜카드)

 

컴퓨터에서 이 어댑터를 사용하려면 "소프트웨어 드라이버(Driver)"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요. 

 

설치 여부를 확인하시려면 "윈도우 키 + R"를 누르시고, ncpa.cpl을 입력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위 그림처럼 아이콘이 보인다면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왼쪽 아이콘은 "무선랜 어댑터", 오른쪽은 "유선랜 어댑터" 입니다.)

 

만약,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경우, 또는 나는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무선랜 어댑터가 없거나,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는데, 유선랜 어댑터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장치 관리자"로 이동해주세요.

 

"장치 관리자"는 아래 그림처럼 찾기 칸에 "장치 관리자"를 입력하시면 보이게 됩니다. 

 

"네트워크 어댑터"에 가보시면 지금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어댑터가 보일거에요. 만약, 아무것도 없다!! 그럴 경우는 어댑터가 없거나 어댑터 불량일 확률이 높습니다. 

 

저는 정상설치 상태라서 느낌표가 없지만, 만약 드라이버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그림처럼 해당 어댑터에 느낌표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사실 컴퓨터 초보분들이 가장 어려워하시는 부분인데요.. 인터넷이 안되시는 상황인데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셔야 되거든요. ㅠㅠ 당연히 이 컴퓨터는 인터넷이 안되니 다른 인터넷이 되는 컴퓨터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으셔야 합니다. 그 다음, "USB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이 컴퓨터로 옮기셔야 해요.

 

사실 그 이후는 어렵지 않아요.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은 어댑터를 "더블클릭" 하시고, "드라이버" 탭에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누르시고, 복사한 드라이버 파일을 선택 후 설치해주시면 되거든요.

 

자, 이렇게 까지해서 "어댑터 드라이버" 준비가 완료되셨다면, 이 어댑터가 공유기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연결되었다면, 왼쪽 그림처럼, 연결되지 않았다면, 오른쪽 그림처럼 보여지게 되요.

# 케이블 연결 확인

케이블은 위 그림과 같은 모양입니다. "UTP 케이블"이라고 하며, 공유기와 직접 연결되거나 벽에 있는 포트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연결된 상태라면, 그때부터는 https://donotfear.tistory.com/40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만약,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케이블을 다시 꾹꾹 눌러주시고, 공유기의 전원이나 케이블 연결 상태를 확인하셔서 아래 사진처럼 어댑터의 램프가 켜지도록 만드셔야 합니다.

 

여기까지 완료하셨다면, 인터넷이 다시 잘 연결될거에요 ^^; 안된다면, 위에 링크 남겨드린 글을 확인하셔서 단계별로 어디에 문제가 있는 지 파악해보시면 됩니다. 

 

간단히 다뤄보려 했는데, 생각보다 글이 너무 길어졌네요 ^^;

 

모든 분들이 인터넷 연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실 수 있는 그 날이 오게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