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필) 인터넷 이야기

IP 주소를 이해하면 문제가 보인다

생활IT 2024. 3. 29. 23:38
반응형

 

네이버 지식인에 답변을 하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IP 주소에 대해서만 정확히 이해하셔도 많은 궁금증이 풀릴텐데...

 

이러한 이유로 오늘은 "IP 주소"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 합니다. 

 

천천히 끝까지 읽어 보시면 IP 주소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으실거에요 ^^

 

IP 주소의 정의, 예를들어, 내 집주소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필요한 유일한 나의 주소이다.. 뭐 이런 용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께요~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윈도우 키 + R 버튼"을 누르시면, 실행창이 나타나는 데요. cmd 라고 입력하신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그림 아래와 같이 창이 뜰텐데요. 보통은 검은색이지만 참고로 저는 흰색으로 바꿨습니다. ^^

 

여기서 ipconfig /all을 입력해주세요. 그냥 ipconfig 만 입력하셔도 되지만, 간략한 정보만 나오거든요.

 

자, 여기서 IPv4 주소가 바로 현재 나의 IP 주소 입니다.

(여기서 "현재"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밖에 나가서 다른 와이파이에 연결된다면 IP 주소는 또 바뀌게 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IP 주소를 받지 못한 경우 169.254.x.x로 나타나니 이 경우 공유기를 재부팅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안된다면 공유기 불량일 수도 있어요.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인데요, 이것은 사실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아니라면 모르셔도 되니 넘어갈께요 ^^;

 

"임대 시작 날짜", "임대 만료 날짜"는 내가 DHCP 서버(공유기)로 부터 나의 IP 주소를 언제 할당 받았고, 언제까지 쓸 수 있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만료 시간이 되면 통신이 끊어질 수 있으니 반복적으로 인터넷이 끊어진다면 이 시간을 늘려주시면 됩니다. 

 

"기본 게이트웨이"는 내가 인터넷 세상으로 나가기 위한 관문 IP 주소라고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즉, 이 IP 주소가 바로 현재 연결된 공유기의 IP 주소 입니다. 웹 브라우저에 이렇게 입력하면 공유기에 접속이 됩니다.

 

"DHCP 서버"는 나에게 IP 주소를 할당해준 고마운 녀석인데요 ^^; 

별도의 DHCP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가 아니라면 이 또한 "공유기"가 DHCP 서버의 역할도 하게 됩니다.

 

"DNS 서버"는 URL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인터넷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daum.net 으로 입력하시면 DAUM 사이트에 접속하게 됩니다. 

내 컴퓨터가 이 URL 주소만을 가지고는 사이트에 연결시키지 못하고, 반드시 이 URL 주소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아야 연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내가 URL 주소를 입력할 때 이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알려주는 것이 바로 DNS 서버 입니다. 이또한, 공유기가 되겠죠~ 

참고로, 공유기 자신도 모든 URL에 해당하는 IP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에 외부에 있는 DNS 서버로 요청을 전달합니다.

 

만약, 내 PC가 DNS 서버 주소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외부로 Ping 통신은 정상이지만 인터넷 접속은 불가능 한 상태가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시면 내가 요청한 URL 주소에 대한 IP 주소를 응답받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몇몇 분들이 이 DNS 주소만 바꿔도 인터넷 속도가 빨라진다고 생각하는 분이 계신데요. 해외에 나가있지 않은 이상 굳이 DNS 주소를 바꾸실 필요는 없습니다. ^^ 바꾸신다고 해도 체감상 느껴질 정도로 그렇게 빨라지는 것도 아니에요. DNS 서버는 그냥 IP 주소를 알려줘서 연결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지 연결을 빠르게 하는 것은 아니거든요.

 

여기까지 여러가지 IP 주소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런 지식들이 모이면 나중에는 일상 생활에서 통신과 관련된 어떠한 문제를 겪으시더라도 문제를 금방 찾아내실 수 있으실거에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