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와이파이 공유기와의 거리가 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벽이 가로막고 있어서 신호 세기가 약한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사실, 와이파이 신호는 간섭 물질이 없다면 상당히 먼 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50m~100m 또는 그 이상)
하지만, 벽이 많은 집 안에서는 "신호 감쇠"와 "주파수 간섭"으로 인해 와이파이 공유기 1대로 집안 전체를 커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죠.
그리고, 신호 감쇠도 큰 문제이긴 하지만, 물질에 부딪혀 반사되는 "반사파"의 경우에도 간섭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럼, 어떤 물질이 얼마만큼의 신호 감쇠를 일으키는지 간단히 알아볼께요.
물체 | 신호 감쇠(dB) | 신호 도달거리 |
Open 환경 | 0 | 100% |
창문 (금속 코팅하지 않은 경우) | 3 | 70% |
창문 (금속 코팅을 한 경우) | 5~8 | 50% |
나무 벽 | 10 | 30% |
인테리어 벅 (두께 15cm) | 15 ~ 20 | 15% |
내력 벽 (두께 30cm) | 20 ~ 25 | 10% |
콘크리트 벽 | 15 ~ 25 | 10 ~ 15% |
위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콘크리트 벽은 집 안에서 엄청난 신호 감쇠를 일으키게 됩니다.
불과 거리가 5m 미만 임에도 불구하고, 신호세기가 1~2칸 밖에 뜨지 않은 이유가 이 것 때문이에요.
신호를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증폭기를 활용하시거나 추가로 공유기를 설치하시는 등의 방법을 고민하셔야 겠죠?
이만 짤막한 글을 마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반응형
'(생필) 와이파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파이 7 공유기" 지금 구매해도 될까? (WiFi 7) (0) | 2024.05.10 |
---|---|
"와이파이 접속 리스트" 확인 및 삭제하기 (무선랜 프로파일 확인) (0) | 2024.05.08 |
"게이밍 와이파이 공유기" 주관적 평가 (내돈내산?) (0) | 2024.05.03 |
와이파이 802.11ac, ax 용어 설명 (WiFi 5 / WiFi 6 / WiFi 6E) (0) | 2024.05.02 |
"와이파이 공유기" 비교 (IPTIME AX2004M vs AX8004M) (2) | 2024.04.30 |